본문 바로가기
Reference/경제관련

주휴수당 못받는 경우

by study room 2025. 2. 19.
반응형

주휴수당 조건과 주휴수당 못받는 경우,  주휴수당 계산법

주휴수당에 대해 알아보자!

여러분, 알바를 하면서 주휴수당에 대해 들어보셨나요? 

혹시 주휴수당을 안 받는다는 계약서에 서명하신 적은 없으신가요?

오늘은 많은 알바생들이 궁금해하는 주휴수당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주휴수당이란?

주휴수당은 근로자의 휴식권을 보장하기 위해 지급되는 수당입니다. 

1주일 동안 일정 시간 이상 근무한 근로자에게 1일의 유급휴일을 주는 것을 의미합니다.

주휴수당

주휴수당 조건

주휴수당을 받기 위한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 1주일에 15시간 이상 근무
  • 해당 주의 근로일수를 모두 채운 경우
  • 1주간 근로관계가 있고 그 기간 동안 소정 근로일 개근

이 조건들을 모두 충족하면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지각 또는 조퇴 등의 사유로 해당 일에 근무시간이 짧았더라도 근로자가 출근을 하였다면 개근으로 간주됩니다.

주휴수당 계산기

주휴수당 계산은 다음 공식을 사용합니다:
주휴수당 = (1주 소정근로시간 / 40) × 8시간 × 시급

예를 들어, 1주일에 20시간 일하고 시급이 10,000원인 경우:
(20시간 / 40) × 8시간 × 10,000원 = 40,000원의 주휴수당을 받게 됩니다.

주휴수당 못 받는 경우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주휴수당을 받지 못할 수 있습니다:

  • 1주일 근무시간이 15시간 미만인 경우
  • 해당 주의 근로일수를 모두 채우지 못한 경우
  • 결근한 경우
1. 일회성으로 1주 15시간 일한 경우에도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나요?
근로계약서에 명시된 소정근로시간이 1주 15시간 미만인 근로자가, 특수한 이유(알바 대타 등)로 일시적으로 1주 15시간 이상 일한 경우에는 주휴수당 적용 불가입니다. 이 경우에는 주휴수당이 아닌 연장근로에 해당함

2. 1주일 미만 단기 알바도 15시간 이상 일하면 주휴수당 받을 수 있나요?
15시간 이상 근로했더라도, 근로 기간이 1주일 미만이고, 그다음 주에도 계속 근로할 계획이 없는 단기 알바라면 주휴수당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주휴수당 안주는 알바

근로계약서에 "주휴수당을 지급하지 않는다"고 명시되어 있더라도, 이는 법적으로 무효입니다.
주휴수당 미지급은 임금체불에 해당하며, 사용자에게 법적 처벌이 가해질 수 있습니다.
아르바이트생도 조건을 충족하면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근로기준법에 따라 모든 사업장은 사업장 규모에 상관없이 주휴수당 지급 의무가 있습니다.
따라서, 5인 미만 사업장에서도 근로자에게 주휴수당을 지급해야 하는 것은 법적 의무입니다.
단, 5인 미만 사업장의 경우 야간근무수당, 휴일근무수당 등에 대해서는 지급 의무가 없습니다.

<5인 미만 사업장의 경우>
지급 의무 있음 지급의무 없음
최저임금
주휴수당
퇴직급여
유급휴가
연장근로수당
야간근로수당
휴일근로수당

주휴수당 계산기 활용하기

https://m.alba.co.kr/story/CalculatorHoliday.asp

 

주휴수당 계산이 복잡하게 느껴진다면, 온라인에서 쉽게 찾을 수 있는 주휴수당 계산기를 활용해보세요. 시급과 근무시간만 입력하면 간편하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주휴수당 통상임금

1. 주휴수당 통상임금 포함 여부

주휴수당은 통상임금에 포함됩니다. 판례는 통상임금을 "정기적, 일률적, 고정적으로 지급되는 임금"으로 정의하며, 주휴수당은 이 조건을 충족합니다.

2. 월급제에서의 주휴수당

월급으로 임금을 지급할 경우, 그 월급에는 주휴수당이 포함된 것으로 봅니다. 이는 시급제, 일급제, 월급제 근로자 모두에게 적용됩니다.

3. 통상임금 재산정 시 주휴수당 처리

정기상여금 등이 통상임금에 포함되어 통상임금을 재산정할 경우, 주휴수당 차액 청구 가능 여부가 쟁점이 됩니다. 대법원은 월 단위로 지급되는 고정수당(정기상여금 포함)에 주휴수당이 이미 포함되어 있다고 보므로, 별도의 주휴수당 청구는 인정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4. 주휴수당 제도의 문제점

현행 유급 주휴제도로 인해 임금계산의 복잡성과 불명확성 문제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한 개선 방안으로 주휴수당의 무급화와 개근 요건 삭제 등이 제안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복잡한 관계로 인해 노사 간 분쟁이 자주 발생하므로, 근로자와 사용자 모두 주휴수당과 통상임금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주휴수당은 근로자의 당연한 권리입니다. 알바생 여러분, 이제 주휴수당에 대해 잘 아셨죠? 

여러분의 권리를 꼭 챙기세요!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주변 친구들에게도 공유해주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