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ference/Life science

유전자 돌연변이

by study room 2020. 2. 10.
반응형

유전자와 돌연변이

DNA는 퓨린 (Purine) 계열의 아데닌 (Adenine), 구아닌 (Guanine) 그리고 피리미딘 (Pyrimidine) 계열의 티민 (Thymine), 시토신 (Cytosine)4가지 염기 베이스의 반복적인 서열 구조인 폴리 뉴클레오타이드 (poly nucleotide)로 구성된다.

 

모든 폴리 뉴클레오타이드가 유전 정보를 담고 있는 것은 아니고 특정한 부위의 특정한 염기서열 만이 중요한 유전 정보를 담고 있는 것이다. 이것을 우리는 유전자라고 하며 단백 (Protein)을 발현하는 기본 단위가 되는 것이다.

 

대개 자손 번식을 위한 유전자 복제는 감수분열 (meiosis) 과정에서 일어나는데 자신과 동일한 염기서열을 가지는 유전자를 복제하면서 염기서열 순서가 바뀌거나 또는 다른 염기서열이 끼어 들어가 복제 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것을 돌연변이라고 하는데 대부분 세포는 자연적 발생 가능한 돌연변이를 극복하고 제거하는 복구 (repair)시스템을 가진다.

 

한편 자손 번식을 위한 감수분열 이외에도 동일한 조직이나 세포가 손상되었을 경우 재생을 하거나 머리카락이나 피부세포와 같이 새롭게 자라나면서 증식을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세포들은 생식세포와 구분하여 체세포라고 부른다.

 

이러한 체세포의 경우도 자신과 동일한 조직이나 세포를 만들면서 유사분열 (mitosis)을 통해 동일한 유전자를 복제해야 하는데 감수분열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돌연변이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원인에 의해 유사분열시 DNA의 돌연변이가 발생할 수 있다.

 

체세포 분열 과정에서의 돌연변이는 주로 환경요인에 영향을 많이 받게 된다.

학습백과 ZUM

 

반응형

'Reference > Life scie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돌연변이에 따른 유전 질환  (0) 2020.02.10
유전자 돌연변이의 종류와 복구시스템  (0) 2020.02.10
손소독제 만드는법  (0) 2020.01.30
코로나 바이러스, 사스, 메르스  (0) 2020.01.29
바이러스 분류  (0) 2020.01.29